본문 바로가기
  • 산행과 들꽃 그리고...
시.군 여행정보.교통정보/충청도...

옥천군 여행/관광/교통 정보...등산/맛집 안내

by 서랑 (瑞郞) 2013. 7. 20.

우리 옥천지역에서 사람이 살았을 가능성은 여러 곳에서 수집되는 구석기유물에서 알 수 있는데,

특히 이곳에 농경을 바탕으로 한 정착생활을 시작하였다는 증거는 대천리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 기원전 6000년~기원전 1000년)의 

집터에서 알 수 있다.

비록 1기만 찾아졌지만 집터는 길이 950cm, 너비 510cm의 장방형으로 출입구 쪽은 취사나 난방을 위한 작업공간과 거실공간, 

안쪽은 곡물을 가공 또는 갈무리하는 공간으로 구별하였는데

시기는 기원전 3500~3000년에 해당하며, 집터의 바닥에서 벼껍질, 쌀알, 보리, 밀, 조, 삼씨, 도토리 등이 출토되어 

당시의 먹거리나 생활모습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 기원전 1000년~기원 전후)는 간돌칼[磨製石劍], 돌화살촉[磨製石鏃], 반달꼴 돌칼[半月形石刀], 간돌도끼[磨製石斧]등을 생활도구로 사용하면서 고인돌[支石墓]이나 석관묘[石棺墓]를 남기는 시기인데 석탄리(石灘里) 안터 고인돌유적이 유명하다.

그러나 생활도구를 주로 청동기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한국식 동검기(韓國式銅劍期)의 유적은 일부 알려져 있으며, 도구를 완전히 철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까지의 유적은 현재 알려지지 않고 있다.

고시산군(古尸山郡)에서 상주(尙州) 관성군(管城郡)으로

삼국시대(三國時代)에 들어오면서 옥천지역은 고시산군(古尸山郡)으로 불렸는데, 고고학적으로 보면 산성(山城)과 고분(古墳)을 대표적 자료로 들 수 있다.

비록 정상적으로 발굴 조사된 자료가 없어서 단정짓기에는 무리지만 옥천향토전시관에 수집된 자료에서 보면 5세기말 정도부터는 

신라(新羅)의 중심지였던경주지역의 고분(古墳)에서 출토된 유물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신라적 성격이 매우 강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인화기법(印花技法)을 중심으로 하는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에 들어와서도 대체적으로 그대로 이어지는데

통일신라시대에는 옥천지역이 상주(尙州) 관성군(管城郡)으로 재편되어 이산현(利山縣 : 지금의 이원)과 현진현(縣眞縣 : 지금의 안내)을 영현으로 두었다.

이 시기에 속하는 수장자료로는 기와(瓦), 작은 항아리(小壺), 병(甁), 편병(扁甁) 등의 자료가 옥천향토전시관에 소장되어있다.

옥주(沃州)에서 옥천(沃川)으로

고려시대에는 이 지역이 옥주(沃州)로 불리게 되는데,

이 시기는 통일신라의 작은 항아리(小壺), 큰 항아리(長胴甕), 편병(扁甁) 등의 토기문화를 그대로 계승 발전시키면서

청자(靑瓷)라는 새로운 자기문화를 꽃피운 시기로 용암사(龍岩寺) 삼층석탑(三層石塔)이나 마애불(磨崖佛), 두암리 삼층석탑 등에서 불교문화의 단편을 엿볼 수 있으나 남아 있는 전적은 없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옥천향교(沃川鄕校), 청산향교(靑山鄕校)와 같은 관아건물(官衙建物)과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의 유허(遺墟),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유허(遺墟)를 비롯하여 창주서원묘정비(創洲書院廟庭碑), 이지당(二止堂), 양신정(養神亭), 사마소(司馬所)등과 같은 

유학 관련 건조물들이 지금도 옥천지역에 많이 남아 있다.

한편 이러한 건조물과 더불어 벼슬아치로의 진출에 쓰임이 되는 학습과 수신(修身)의 바탕이 되었던 각종 유학서(儒學書)를 비롯하여, 

시권(試券), 고신문서(告身文書), 교지(敎旨), 호구단자(戶口單子), 준호구(准戶口), 호패(號牌), 분재기(分財記), 토지매매문기(土地賣買文記), 

문집(文集), 보첩(譜牒), 일기(日記), 의학서(醫學書), 사마안(司馬案) 등의 다양한 전적(典籍)과 고문서(古文書)가 있어서 

조선시대 사대부(士大夫) 뿐만 아니라 지역민의 삶을 엿볼 수 있는 자료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옥천군청 관광안내

옥천군청 등산안내

옥천군청 맛집안내

◈ 옥천군청 교통안내

 

※ 모든 자료의 출처는 옥천군청

'향수'의 시인 정지용 생가

 

용암사 쌍삼층석탑

 

부소담악

 

둔주봉 한반도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