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행과 들꽃 그리고...
그외 등산 지도 & 교통/경상도

[하동] 지리산 형(성)제봉 평사리 지도.교통...토지문학관.최참판댁.평사리.악양벌

by 서랑 (瑞郞) 2010. 1. 22.

하동군 악양면의 형제봉(성제봉)은 지리산 남부능선의 끝자락이 섬진강에 잠기기 전에 우뚝 솟은 봉우리다.

멀리 천왕봉에서 제석봉 촛대봉을 거쳐 비경의 남부능선을 따라 이어져 온 지리의 산세는

비옥한 대지를 빚어내는 성제봉~신선봉을 끝으로 섬진강에 잠긴다.

지리산의 산세는 섬진강 밑을 지나 다시 광양의 백운산으로 이어진다.

성제봉은 세석에서 시작되는 남부능선의 종착 봉우리로 불리지만 대개 남부능선 등반에서는 제외되고 있다.

이는 세석~삼신봉~성불재 구간에서 대부분 불일폭포, 쌍계사 코스로 직행하고

비교적 많은 시간과 체력을 소모하는 성불재~성제봉 코스를 포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넓은 의미의 남부능선은 분명 세석~삼신봉~성불재~성제봉~신선봉~고소산성에 이르는 30km의 장쾌한 능선이지만

대개 세석~삼신봉~쌍계사간 20km 구간만을 산행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쌍계사, 불일폭포 등의 빼어난 경관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성불재~성제봉~신선봉~고소산성구간의 빼어난 산세 역시 불일폭포나 쌍계사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해발 1,115m의 성제봉은 우뚝 솟은 봉우리가 우애깊은 형제와 흡사하다해 붙여진 지명이다. 성제는 형제의 경상도 사투리이다.

남부능선의 끝자락이면서도 정작 남부능선 종주산행에서 제외되곤 하는 성제봉이지만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산행대상지여서 최근 주말 산꾼들에게는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소설 "토지"의 주무대인 악양면 평사리 들녘의 풍성함과 아름답고 푸르게 흐르는 섬진강의 비경

그리고 섬진강 건너 자리의 지맥이 그대로 이어져 우뚝 솟은 백운산의 자태를 만끽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성제봉이기 때문이다.

삼신봉에서 성불재, 재원재를 지나 시루봉 못미쳐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성제봉이 나온다.

삼거리에서 왼쪽으로 가면 시루봉을 지나 조식선생이 넘었다는 회남재를 거쳐 청학동과 묵계에 이를 수 있다.

성불재에서 성제봉까지도 대략 2~3시간이면 닿는다.

성제봉의 등산로는 대부분 악양면 등촌리에서 시작되는데

하산은 신선봉, 고소성을 따라 19번 국도로 향하는 코스와 성불재를 거쳐 쌍계사로 향하는 코스가 있다.

주말 산꾼들은 주로 악양면 등촌리를 시발점으로 해 성제봉에 올랐다가 고소성을 따라 하산하기도 하며 쌍계사까지가는 경우도 있다.

지리산 산행이라기보다 독립된 성제봉으로서의 산행을 만끽할 수 있다.

성제봉을 산행하면서 음미해 볼 수 있는 것은 해발300m에 위치해 있는 고소성과 토지의 평사리,

그리고 중국의 악양형과 지세가 유사하다는 악양의 절경을 들 수 있다.

또한 매년 철쭉이 만개할 시기에 [성제봉 철쭉제]가 개최되어 산악인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지난 66년 사적 제 151호로 지정된 고소성은
하동에서 화개장터로 향하는 국도 19번을 따라 차 편으로 20여분 거리로

지리산의 여맥이 성제봉에서 흘러 섬진강으로 떨어지기 직전 해발 300m에 위치해 있다.

먼 옛날 삼국시대의 아픈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는 고소산성은 정확한 축조시기 등에 관한 유래는 전해지지 않고 있으나

천연의 요충지에 위치해 있는 만큼 1000여년전 삼국시대 당시 이 요충지를 중심으로 치열한 접전이 벌어졌으리라 추측해 볼수 있다
그러나 이 설은 당시 나당연합군과 주력부대가 금강을 침공할 때 소정방이 군을 지휘했던 점과

악양일대의 지명이 중국의 그것과 흡사해 산성이름에 소정방을 끌어들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신빙성이 덜하다는 주장이 있다.

오히려 신라가 백제와 왜와의 협력을 차단할 목적으로 그 이전에 산성을 축조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아무튼 고소성은 신라인에 의해 백제를 견제 또는 침공할 목적으로 축조했음을 엿볼 수 있다.

이외에 고소성의 축조 유래는 소송이에 얽힌 전설도 전해져 오고 있다.

蘇장군의 부친과 모친 경주 金씨는 후손이 없어 걱정을 하던 중

어느날 金씨 꿈에 신령이 나타나 진주부근으로 이사를 하면 후손을 볼 것이라고해 그대로 했더니 아들을 얻었다 한다.

그후 소(蘇)장군이 성장, 외성(外城)을 쌓으라는 어머니 김씨의 명에 따라 산성을 축조했는데 소장군의 성씨를 따 고소성이라 부른다는 전설이다.

성제봉 기슭의 고소성에 얽힌 역사의 애환과 설화 못지않게 성제봉 주변 지리산 자락에서 가장 비옥한 대지인 평사리 들녘을 주무대로 한

소설 토지의 배경이 서려있음을 음미해 볼 수 있어 찾는 이들을 더욱 흥미롭게 하고 있다.    [출처: 하동군청 홈피]

 

 

◈ 교통: 형(성)제봉

◈ 문의: 하동군청 문화관광과 ☏ 055-880-2379.  하동버스터미널 정보(하동 터미널 : 055) 883-2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