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행과 들꽃 그리고...
내가 사는 세상/진실은 무엇?

대선 앞둔 한국, 페이스북에 가짜뉴스가 몰려온다

by 서랑 (瑞郞) 2017. 1. 13.

미국 대선 흔들었던 ‘가짜뉴스’와 ‘필터버블’ 효과…“거짓과 팩트는 같은 방식으로 확산된다”

[미디어오늘정철운 기자]


지난 미국 대선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한다”는 뉴스가 페이스북에 등장했다.

출처도 명확하지 않았던 이 가짜뉴스(FAKE NEWS)는 무려 96만 건 공유됐다. 힐러리 클린턴이 IS와 연루됐다는 가짜뉴스도 70만 건 이상

공유됐다. ‘70뉴스’라는 트럼프지지 사이트는 트럼프가 힐러리보다 득표수가 많다는 허위사실을 기사형식으로 유통시켰는데, 해당 URL은

구글 검색 상위에 올랐다.

미국 IT전문매체 버즈피드는 이 같은 내용을 보도하며 미국선거일(11월8일) 이전 3개월 간 인터넷상에서 공유된 가짜뉴스는 870만 건이었으며,

이는 진짜뉴스 공유횟수인 736만 건보다 많았다고 밝혔다. 가짜 뉴스 대부분은 트럼프에 유리하고 힐러리에 불리했다.

결과는 트럼프 당선이었다. 가짜뉴스는 트럼프지지층의 ‘감성적 연대’를 이뤄냈다.


▲ 가짜뉴스로 어려움에 처한 페이스북.


조기대선이 예고된 한국은 어떨까.
한국은 세금으로 국가정보원이 야당 후보 비난여론을 조작하고 청와대 뉴미디어실이 극우·혐오사이트의 글을 퍼 나르는 곳이다.
국내 최대 포털사이트 네이버는 대선이 있던 2012년 정부당국 요청에 따라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순위에서 특정 키워드를 삭제·제외할 수 있는
회사 차원의 지침을 만들기도 했다.


지난 대선에서 국정원 여론조작 무대는 각종 유머사이트 댓글과 트위터였다.

그러나 조기대선을 앞둔 올해는 페이스북으로 무대가 옮겨질 가능성이 높다.

페이스북 코리아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국내 페이스북 이용자는 1700만 명에 달한다. 공유와 확산이 특징인 페이스북에서 뉴스수용자는

가짜뉴스와 진짜뉴스를 구별하기에 앞서 ‘좋아요’를 누른다.

가짜뉴스는 마치 기사처럼 유통된다. ‘일베’같은 숙주사이트를 기반으로 가짜뉴스가 생산되고 페이스북을 통해 확산되는 식이다.


조나단 올브라이트 美 노스캐롤라니아 엘론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최근 우익 웹사이트가 어떻게 메시지를 퍼뜨리는지를 연구한

논문을 발표하며 “사실이 아닌 내용을 사실처럼 퍼뜨리는 허위 뉴스사이트 총 306개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조나단 교수는 “페이스북은 (가짜뉴스의) 효과적인 확성기 역할을 한다. 페이스북은 바이러스가 퍼지는 숙주였다”고 주장했다.

이 논문에 따르면 주도면밀하게 인터넷의 약점을 파고들어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집단’이 존재한다.  [일부발췌]



http://v.media.daum.net/v/20170113085012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