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초기인 2008년부터 현재까지 총 20여명의 언론인이 해직되었다.
해직 언론인 대부분이 노조 간부가 아닌 것은 물론, 그 중 상당수는 평범한 언론사의 직장인으로서 생활하던 이들이다.
자신이 다니던 언론사가 권력에 의해 망가지는 모습을 견디지 못했던 그들은 공정방송이란 상식적인 요구를 하였으나, 돌아온 것은
해직통보였다.
착찹하기만 한데…
그들은 돌아갈 수 있을까?
만약 돌아간다면 그 곳은...
그들이 간절히 원했던 그런 언론사이긴 한 걸까?
그들은 돌아갈 수 있을까?
만약 돌아간다면 그 곳은...
그들이 간절히 원했던 그런 언론사이긴 한 걸까?
정권의 장악으로 붕괴된 대한민국 언론을 집중 조명하기 위해 뭉쳤다!
영화 <7년- 그들이 없는 언론>은 YTN과 MBC에서 부당하게 해직된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정권에 의해 진행된
영화 <7년- 그들이 없는 언론>은 YTN과 MBC에서 부당하게 해직된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정권에 의해 진행된
언론장악의 구체적인 과정과 그로 인해 붕괴된 저널리즘을 재조명한 다큐멘터리이다.
즉, 이 영화는 이명박근혜정부에서 해직된 언론인들의 이야기인 동시에 그들이 부재한 공영방송이 왜 '기레기'라 불릴 수밖에 없었는지를
추적해가는 다큐멘터리라 할 수 있다. 이 영화를 만들기 위해 전국언론노동조합과 한국탐사저널리즘 센터 뉴스타파가 힘을 모았으며,
여기에 EBS [지식채널 e]로 이름을 알린 김진혁 감독이 참여하게 되면서 저널리즘 다큐멘터리를 위한 최강의 드림팀이 구성되었다.
연출을 맡은 김진혁 감독은 “이번 <7년-그들이 없는 언론> 연출을 맡은 후 그 영상들을 하나씩 살펴보면서
울컥하는 감정을 누르기가 매우 힘들었다. 이렇게까지 처절하게 싸웠는지 미처 몰랐기 때문이다.
그 모든 모욕을 견디며 아직도 버티고 있는지도 미처 몰랐다. 그들에게 너무 미안했고 그래서 이 영화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더불어 “그 어떤 대단한 이념 이전에 그저 언론인이라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상식적인 소명'을 지키고자 했던 평범한 사람들이
그 소명을 지키기 위해 이를 악물고 버텨내는 이야기이며, 이는 결국 지난 7년을 그렇게 버텨낸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도 하다.”며
연출의도를 밝혔다. [일부발췌]
'내가 사는 세상 > 영화. TV. 책.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쩌다 어른... tvn (0) | 2017.03.05 |
---|---|
2014년 세월호보도, 언론은 왜 전원구조라고 했을까? (0) | 2017.01.08 |
낭만닥터 김사부 - Sbs 월화 드라마... (0) | 2016.12.14 |
영화 '히말라야(휴먼 원정대)'원작. 다큐 <아! 에베레스트> 감독축약판과 원본 영상 (0) | 2016.01.15 |
'꽃보다 할배' 의 두바이 명물 '음악분수' 공연... (0) | 2015.03.29 |